TEE HOUSE, 2011 보면서 느끼는 분위기를 몇 가지로 추스려보면 대략 이 정도로 정리가 된다. " 재료의 투명성, 기둥의 부피감 소거 위한 노력(+자형 기둥), 개별 공간의 독립성, 수평 지붕, 자연 재료 사용, 가볍게 보이기, 재료의 대비, 수평선, 덩어리의 모음, 투박함과 매끈함 " 최대한 자연스러운 건축을 만들려 무진 애를 써도, 땅 위의 사물은 서 있는 것 자체가 부자연스러운 일 WORKS 2022.01.25
"단면상세도로 철저하게 배우는 주택설계_목조편" 톱으로 나무를 자르고 망치로 못질하고 대패로 면을 고르면 내 몸에 맞는 집이 선물처럼 세상에 나온다 나무 냄새와 함께...... BOOKS 2020.07.30
PROJECT 2 : 청파동 RED HOUSE_벼리 건축사사무소 위치 : 서울특별시 용산구 청파동 지역지구 : 제2종 일반주거지역(7층이하) 용도 : 근린생활시설, 공동주택(다세대) 규모 : 지하1층~지상4층 건축면적 : 95.42 ㎡ 연면적 : 390.50 ㎡ 구조 : 철근콘크리트조 창호 : 이건 시스템창호(목재) WORKS 2019.04.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