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RKS 19

TEE HOUSE, 2011

보면서 느끼는 분위기를 몇 가지로 추스려보면 대략 이 정도로 정리가 된다. " 재료의 투명성, 기둥의 부피감 소거 위한 노력(+자형 기둥), 개별 공간의 독립성, 수평 지붕, 자연 재료 사용, 가볍게 보이기, 재료의 대비, 수평선, 덩어리의 모음, 투박함과 매끈함 " 최대한 자연스러운 건축을 만들려 무진 애를 써도, 땅 위의 사물은 서 있는 것 자체가 부자연스러운 일

WORKS 2022.01.25

00어린이집 설계공모 참가작

OO어린이집 설계공모 참가작 건물이 어떤 터에 앉혀 질때 주변 환경을 어떻게 바꿀수 있을까 ? 인근 이웃들의 삶의 내용에 어떤 영향력을 미칠까? 단순히 건물만을 디자인 할 것인가 ? 어느 정도의 힘을 발휘 할 수 있을지는 정확히 수치로 표현할 수 없다. 다만, 마을 사람들의 생활의 내용에 변화가 있음은 분명하다. 대지를 둘러보고 떠오르는 개념들은 대략 이런 것들이었다. " 어마무시한 레벨을 극복하는 수단으로 계단으로 만들어진 열린 광장을 만들어 지역 공동체에 봉사하는 역할을 부여하자는 것" "계획된 보행로가 별도로 없기 때문에 보행자의 안전을 위한 공간을 확보하자라는 것" 결국 이런 생각들은 본래 주제였던 어린이집의 공간 프로그램을 충족시키기에도 부족함이 있었고, 커다란 공감을 얻지 못했다. 작업하는 동..

WORKS 2021.12.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