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세이 5

밥벌이의 지겨움-김훈

. . . 모든 밥에는 낚싯바늘이 들어 있다. 밥을 삼킬 때 우리는 낚싯바늘을 함께 삼킨다. 그래서 아가미가 꿰어져서 밥 쪽으로 끌려간다. 저쪽 물가에 낚싯대를 들고 앉아서 나를 건져올리는 자는 대체 누구인가. 그 자가 바로 나다. 이러니 빼도 박도 못하고 오도가도 못한다. 밥 쪽으로 끌려가야만 또 다시 밥을 벌 수가 있다. . . . 김훈, , 생각의나무, 2008, pp.35~36

BOOKS 2024.03.03

나의 행복론-이호철

“인간은 의욕적으로 감행하여, 마침내 창조함으로써 진정한 행복을 느낀다.” “인간은 모름지기 행동하여 각고 끝에 목표한 것을 획득할 때, 진정한 만족과 행복을 느낀다. 행동이 따르지 않는 쾌락보다는 행동을 수반한 고통을 택하는 게 차라리 인간답다.” “결국 인간의 행복은 제각기 처한 상황에서 한껏 양껏 행동하는 것, 주어진 자신의 생명력과 에너지를 송두리째 연소시키며 보람 있는 일을 해내는 것, 바로 그 창조행위 속에서 찾아져야 한다.” “요컨대 인간의 행복이란 끊임없는 행동, 끊임없는 움직임, 약동하는 생명의 연소 그 자체이다. 그것은 남이 보기에는 고통이지만 살아 있음의 가장 확실한 증거이다.” “사람은 누구나가 제각기 생긴 만큼, 처한 상황만큼, 행동의 장이 정해지게 마련이다. 그 장의 성질에 따라..

BOOKS 2024.01.18

인간-마광수

인간은 반항한다, 그러므로 존재한다 인류 사회가 앞으로 보다 평화스런 행복과 복지를 추구해 나가기 위해서는, 폭력적 투쟁보다 ‘문화적 투쟁’이 치열하게 계속돼야 한다는 것이 내 생각이다. 특히 예술을 예로 들어 생각해 볼 때, 예술은 더욱더 ‘금지된 것에 대한 도전’이 되어야 하고 ‘상상력의 투쟁’이 되어야 한다. 예술은 당대(當代)의 가치관에 순응하는 계몽수단이 돼서는 절대로 안 된다. 예술은 언제나 기성도덕에 대한 도전이어야 하고, 기존의 가치체계에 대한 ‘창조적 불복종’이나 ‘창조적 반항’이어야 한다. 그러므로 예술인, 나아가 모든 문화인들은 “나는 반항한다. 그러므로 나는 존재한다”라는 명제를 가슴 깊이 새겨둘 필요가 있다. 진정한 반항인은 외로울 수밖에 없다. 참된 문화적 생산물은 당세풍(當世風..

BOOKS 2023.12.19

내일의 건축

나의 스승 기쿠타케 기요노리 . . . 나는 기쿠타케건축설계사무소에서 일반적으로 구축한 논리로는 제대로 일할 수 없다는 것을 피부로 느꼈다. 다시 말하면 머리로 생각한 것은 사흘이면 변하지만 몸으로 부딪혀 경험한 것은 평생 변하지 않는다는 뜻이다. 정말로 이 일을 하고 싶으냐는 질문에 몸으로 부딪혀보고 싶다고 말할 수 있을 정도가 아니면 안 된다. 이것이 내가 기쿠타케 기요노리 씨에게서 배운 것이다. 그리하여 기쿠타케 기요노리 씨는 내가 지금까지 건축 설계를 지속할 수 있게 한 은인이다. . . .

BOOKS 2022.01.04